본문 바로가기

웩슬러 지능 검사-언어이해 지표에서 공통성 소검사가 의미 하는 것

tosiri12 2024. 12. 13.
웩슬러 유아, 아동 지능검사는 총 5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언어이해, 시공간, 유동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이렇게 5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고, 지표 안에는 소검사들이 있습니다.

각 지표의 점수는 많은 것을 의미하고 중요하지 않는 지표는 없으나, 언어이해 지표는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학습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언어이해 지표의 점수를 올리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또 언어적인 부분은 후천적 능력에 속하는 부분이 많아 도움을 줬을 때 단기간에 성장하기 쉽습니다.

 

오늘은 언어이해 지표에서 '공통성'소검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언어이해 지표의 구성

유아검사 상식 공통성 어휘 이해
아동검사 공통성 어휘 상식 이해

*보라색으로 표기된 검사: IQ에 포함되는 검사

*검은색으로 표기된 검사: IQ에 포함되지 않는 검사

 

언어이해에서 유아검사와 아동검사의 소검사의 구성은 같으나 아이큐에 포함되는 검사가 다릅니다.

(단, 유아검사와 아동검사의 소검사 이름이 같다 하더라도 문제는 다릅니다. 이름이 같은 건 측정하려는 능력이 같다는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 게티 이미지 뱅크

공통성 소검사 소개

공통성 검사는 2개의 단어를 듣고 공통적인 특징을 추론해 내는 검사입니다.

예를 들어 볼펜과 연필->필기도구라고 대답하는 것입니다.(실제문제는 아닙니다.)

 

공통성 소검사에서 측정하는 내용

- 언어적 추론, 개념 형성과 언어적 표현 능력을 측정합니다.

- 청각적 이해와 기억, 비본질적인 것과 본질적인 특성 간의 구분, 언어적 문제해결을 측정합니다.

 

공통성 소검사가 약한 아이의 예시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 공통성 점수가 다른 능력에 비해 낮은 예시

 

제가 예전에 검사했던 아이의 그래프입니다.

이 아이의 언어이해 지표의 아이큐는 136, 상위 0.5%의 점수였습니다.

언어이해, 습득이 매우 뛰어나고 책도 많이 읽은 티가 났습니다.

부모님께서도 당연히 언어가 좋을 거라 예상하셨습니다.

하지만 이 아이는 언어적 상상력, 언어적으로 자유롭게 사고하는 능력이 다른 언어능력에 비해 약했습니다.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단답으로 대답도 잘하지만 정답이 바로 떠오르지 않는 추론의 문제에서는 사고가 확장되는 것이 약한 것입니다.

 

언어이해는 강하지만 추론이 약한 아이, 언어 공부를 해야 할까?

언어이해가 강하다는 것이 꼭 앞으로 국어를 잘할 거라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해가 강하기 때문에 모든 학습을 할 때 습득력이 빠르고 흡수를 잘할 것입니다.

공부를 하는데 굉장히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어를 잘한다는 것은 언어적 사고, 언어적 추론이 뒷받침된다는 입니다. 

책을 읽고 난 다음, 책에서 주는 정보만 이해하고 외우는 것은 암기과목입니다.

책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왜 이런 내용이 쓰였는지, 다음 내용은 왜 이런 내용으로 쓰였는지 생각하고, 거기에 대한 자신의 생각, 의견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친구들은 어릴 때 언어적으로 사고해 보는 경험을 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공통성이 약한 아이, 도와줄 수 있는 방법

1. 창작, 인성동화 등 생각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책 읽기

앞서 언급한 아이는 정보성 책(과학, 사회 등)을 좋아하여 반복해서 읽고 외우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친구들은 대부분 창작류의 책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스스로 읽기는 어려울 가능성이 높아 하루에 1권씩 읽어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미지 출처 : 게티 이미지 뱅크

2. 독후활동 하기

창작이나 인성동화는 책의 제목만 보고 어떤 내용이 나올지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책을 읽다가도 다음에 무슨 내용이 나올지, 결말이 왜 이렇게 쓰였는지 얘기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핵심은 정답을 얘기하는 것이 아닌, 근거를 가지고 정답이 없는 것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3. 창작책 제대로 읽기

창작동화책을 읽다 보면 함축적인 의미가 쓰여 있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어른이 보기에는 잘 이해가 되어 넘어가기 쉽지만, 아이들은 이해하지 못한 채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읽어주시는 부모님도 꼼꼼하게 보시어 이러한 내용들을 앞뒤 문맥에 따라 설명해 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4. 근거가 있는 의견 제시하기

추론 활동을 할 때는 자신만의 근거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소 대화에서도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세 가지 말하기, 무엇을 해달라고 요구했을 때도 그렇게 해줘야 하는 이유 세 가지 말하기 등을 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미지 출처 : 게티 이미지 뱅크

5. 글쓰기

글을 쓸 때는 자신의 근거, 생각이 확실하게 드러나도록 쓸 수 있게 도와주시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일기를 쓴다 하더라도, 

오늘 있었던 일 쓰기->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쓰기->이런 일이 일어나서 내 기분과 다른 사람의 기분은 어땠는지 쓰기->다음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쓰기

이런 방식으로 자신만의 근거를 생각하며 써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