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처리속도 지표가 약점인 것이 의미 하는 것 - 문제풀이에서 실수가 많은 아이
지난주에 만났던 초등학교 3학년 남자아이, 검사의뢰 이유는 전반적 학습이 어렵고 집중이 약하다 생각되지만 가끔 어려운 문제를 잘 풀 때가 있어 아이의 현재 상태 및 특성을 알기 위함이었습니다.
아이는 굉장히 예의가 바른 편이었고 최선을 다해 검사에 임했습니다.
모르는 문제도 해결을 해보려고 노력했고, 지시에 성실히 따랐으며 초반 집중력과 후반 집중력이 많이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아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더 노력했고, 제가 중점적으로 본 부분은 이러한 부분입니다.
문제풀이에서 실수가 많은 아이, 체크해보아야 할 점
1. 집중력
앞에서 언급한 아이는 부모님께서 집중력이 약하다고 말씀하셨으나 눈에 띄게 집중력이 약하다고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초반 집중력과 후반집중력이 많이 달라지지 않은 것도 지구력에 특이사항이 없다는 것을 말해주어서 주의 깊게 계속 살펴보았습니다.
집중력에는 특이사항이 없으나, 쉬운 부분에서 실수가 있음을 캐치하였고 집중해서 문제를 푸는 듯 하나 실수가 왜 빈번히 일어나는지 지켜보았습니다.
2. 시각적 부주의
수업도 잘 듣고 잘 따라오는 듯하다가 삼천포로 빠지는 것 같은 느낌, 시각적 부주의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제가 검사한 아이도 겉으로 보기엔 모범생에 가까웠고 잘 따라왔으나 시각적 섬세함이 떨어지면서 실수가 반복되었습니다.
미세하게 다른 도형을 보았을 때 무엇이 다른지 캐치할 수 있는 건 시각적 변별능력과 관찰력이 좋다는 것입니다.
이 아이는 미세하게 다른 도형이 다 똑같다고 느낍니다.
다 똑같다고 느끼는 순간, 이해력이 떨어지고 멍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멍해지면 가르치는 입장에서는 주의력이 떨어지고 언어적 이해력이 약한가..?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언어적 이해능력
언어를 잘 이해하지 못하면 실수가 많을 수 있습니다.
이미 수업을 이해할 때부터 오류가 많기 때문에 문제풀이는 당연히 실수가 많겠지요.
앞서 검사한 아이는 언어이해 능력이 우수했습니다.
언어능력이 약해서 실수를 하거나 수업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문제를 읽고 푸는 과정에서 시각적 부주의로 인해 문제를 잘못 해석했다면 실수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글자를 스스로 읽는 것도 시각 주의력과 관련 있습니다.
시각 주의력이 약한 아이들은 글자들이 낱자로 보이는 것이 아닌, 뭉텅이의 그림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검사한 아이의 문제점은, 언어적 이해도 아닌 집중력도 아닌 시각적 부주의로 얘기해 볼 수 있었습니다.
시각적으로 부주의 한 아이들의 특성(시각적으로 예민하지 않은 아이들)
1. 관찰력이 약하다.
시각적으로 예민하지 않기 때문에 무언가를 볼 때에 구체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래서 비슷하게 생긴 자극들을 변별하기 어렵습니다.
2. 책을 읽는 것을 싫어한다.
책의 문장은 보통 자잘하게 적혀 있기 때문에 이런 글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습니다.
저희 아이도 글자를 빨리 뗀 것에 비해 책 읽기를 힘들어하는데, 시각 기억과는 별개로 시각적 변별능력이 약해서 그렇습니다.
3. 웩슬러 검사에서 처리속도 지표의 점수가 약하다.
처리속도 지표에서는 시각적 선택주의력 및 시각적 변별능력을 측정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부주의한 아이들은 이 지표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기도 합니다.(이 능력의 점수가 몇 점인지 보다는 다른 능력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인지를 보는 게 좋습니다.)
문제 풀이에서 실수가 많은 아이, 처리속도가 약한 아이들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
1. 찾기 게임을 자주 한다.
많은 자극 중에서 찾는 게임을 자주 하면 시각적 주의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됩니다.
마트에서 고추 찾아오기, 서점에서 00 책 찾아오기, 집에서 인형 찾아오기, 보물찾기 등 찾는 게임을 해봅니다.
2. 변별 게임을 해본다.
틀린 그림 찾기와 같은 미세하게 다른 자극을 변별해 보는 활동을 해봅니다.
3. 미로 찾기, 윌리를 찾아라 같은 워크지를 해본다.
미로 찾기를 할 때는 시각적으로 먼저 계획을 세운다음 한 번에 미로를 통과할 수 있게 지도합니다.
4. 부모님과 짧은 책을 한 줄씩 읽거나, 특정 문장을 빨리 찾는 활동을 한다.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을 때 오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한 줄씩 번갈아가며 읽는 연습을 해봅니다.
또한 순간적 시각 주의력을 위해 부모님께서 특정 문장을 얘기하고 아이가 빠르게 그 문장을 찾는 활동을 해봅니다.
5. 풀어야 할 문제를 확대복사를 해서 제공한다.
자잘한 글은 눈에 잘 들어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눈에 잘 띌 수 있도록 확대복사를 해서 제공합니다.
확대복사를 해서 실수가 줄어들면, 서서히 확대 비율을 작게 조정해 봅니다.
6. 똑같이 만드는 구성활동을 한다.
설명서와 똑같이 만들어 볼 수 있는 큐비츠, 레고, 종이접기 등을 하면서 미세한 시각 자극에 대해 경험해 봅니다.
앞서 검사했던 아이는 시각 변별능력은 약하나 시각 기억능력은 좋았습니다.
시각 기억이 강하고 시각 변별능력이 악하면, 책을 읽었을 때 기억은 잘할 수 있으나 책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는 능력이 약합니다.
시각 기억이 강하다고 무조건 시각 변별이 강한 것은 아니기에, 아이의 능력이 약하다면 분리해서 생각해 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웩슬러 지능 검사-언어이해 지표에서 공통성 소검사가 의미 하는 것 (1) | 2024.12.13 |
---|---|
유아기 자신감을 기르는 방법 - 언어능력과 사회성 점검하기 (2) | 2024.11.26 |
유아기 자신감이 약한 이유- 언어능력과 사회성 점검 하기 (1) | 2024.11.22 |
유아 웩슬러 검사에서 받은 점수, 신뢰도는 어느 정도 일까? (2) | 2024.11.15 |
집중력과 끈기, 인내심이 약한 아이, 놀이치료를 해야할까? (2) | 2024.11.08 |
댓글